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재무와 무역 알면 쓸모있는 지식39

손익계산서에 대해서 (2) 오늘은 손익계산서를 알아보기 위한 2번째 시간입니다! 지난 회차에서는 수익과 비용에 대해서 알아봤고, 이번에는 "이익"에 대해서 알아볼 거에요! * 매출총이익 : 제품이나 상품의 판매로 인하여 고객으로부터 받는 수익(매출액)에서 제품이나 상품을 제조하거나 구입하는데 사용된 비용(매출원가)을 뺀 이익을 매출총이익 이라고 합니다. - 매출총익익이 중요한 이유 : 매출총이익을 통해 제품과 서비스의 수익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매출총이익률 : 매출총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 매출총이익률이 높은 경우 : 이익을 많이 냈다 - 매출총이익률이 낮은 경우 : 이익을 적게 냈다 * 영업이익 : 금융비용을 좌우하는 재무정책이나 회사가 어쩔 수 없는 정부과세정책에 따라 발생하는 법인세비용을 아.. 2022. 3. 13.
손익계산서에 대해서 (1) 안녕하세요 오늘은 손익계산서에 대해서 알아볼께요! 손익계산서의 기본 구조는 : 매출액(1)에서 제조원가나 서비스원가 등 가장 핵심적인 비용인 매출원가(2)를 차감하여 매출총이익(3)을 구하고, 여기 에서 영업비용인 판매비와 관리비(4)를 차감해서 영업이익(5)을 도출합니다. 그리고 영업 외적인 기타수익(6)과 기타비용(7)을 가감하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8)이 나오고, 다시 여기에서 법인세비용(9)까지 차감하여 당기순이익(10)을 구하는 구조입니다. 또한, 손익계산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이 있는데, 수익이 인식된 시점에 비용을 관련해서 인식하는 것입니다. 즉, 발생주의에 따라 수익을 먼저 인식한 다음, 이 수익을 위해 희생된 원가를 비용으로 계상하는 것입니다. * 직접대응 : 비용.. 2022. 3. 13.
재무상태표에 대해서 (2) 바로 이전에, 재무상태표의 구성 및 유동자산에 대해서 살펴봤었는데요. 이번에는 '비유동자산'의 설명입니다. 비유동자산 : 말 그대로 유동자산에 해당하지 않는 자산항목으로, 결산일로 부터 1년을 초가해 보유하게 된 자산입니다. 보통 영업활동에 장기간 사용할 자산이나 영업활동 이외의 투자목적으로 보유하는 자산 등이 포함됩니다. * 투자목적 및 형태 등에 따라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및 기타비유동자산으로 구분합니다. 투자자산 : 투자수익의 목적으로 보유하며, 주된 영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자산, 장기금융상품, 장기투자증권, 투자부동산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유형자산 : 주된 영업수익 창출과 관련하여 보유하는 것 중에서 구체적 형태가 있는 자산, 토지, 건물, 기계장비, 비품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 .. 2022. 3. 9.
재무상태표에 대해서 (1) 재무상태표는 크게 자산, 부채, 자본으로 구성됩니다. * 자산 - 기업에 유용한 것 :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고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것이라고 기대되는 자원 (크게 유동자산과 비유동자산으로 나눠짐) * 부채 - 갚아야할 빚 (의무) : 과거 사건에 의하여 발생하였으며, 내재적 자원이 기업으로부터 유출됨으로써 경제적 효익이 이행될 것으로 기대되는 현재의 의무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로 이루어짐) * 자본 - 나의 몫 (순자산) : 기업의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차감한 잔여지분을 의미하먀, 자산과 부채를 각각 측정해서 차액을 계산한 것과 같은 결과 (납입자본과 이익잉여금과 기타자본요소로 이루어짐) ★ 자산 = 부채 + 자본 자산은 크게 1) 유동자산과 2) 비유동자산으로 나눌수 있.. 2022. 3.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