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식회계는 회사 실적을 좋게 보이도록 회사의 장부를 조작하는 것으로, 가공 매출을 기록하거나 비용을
적게 보고하거나 누락시키는 행위를 포함합니다. 분식회계는 회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거짓으로 만들
어 투자자나 채권자의 판단을 흐리게 할 수 있어 회계사기라고도 합니다.
*사례
1999년 부도로 해체된 대우그룹은 세계 최대인 41조원의 분식회계를 했는데, 부채는 줄이고 순이익은
늘려 자본잠식 상태인 기업을 흑자기업으로 위장헸습니다. 한보철강은 6조 6,600억원의 분식회계
사실이 적발되었고, 기아그룹의 분식회계 규모는 3조원이었습니다.
이러한 대기업의 분식회계는 우리나라가 1997년 국가부도 IMF 체제를 맞이하게 된 도화선 이었습니다.
분식회계는 이렇게 기업만이 아니라 사회나 국가 전체의 문제로 비화할 수 있습니다.
*분식회계를 하는 이유
1. 기업의 가치를 부풀려서 보여주기 위해
: 기업의 가치를 부풀려서 보여주면, 실제로는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가 좋지 않은데,
투자자들은 해당 기업의 재무구조가 튼튼하다고 판단하거나, 앞으로의 전망이 좋다고 판단하여
해당 기업에 투자를 할 수 있어 위험합니다. 즉, 투자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풀려진 기업의 가치로 인해 주가를 올려, 주식시장에 혼란을 야기하여 주식을 매수하는
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수 있습니다.
2. 경영진의 횡령을 숨기는 목적
: 분식회계를 통해, 이익이 많이 발생하였으나, 이익을 덜 발생한 것처럼 보여주어, 공시되지 않은
이익의 부분을 경영진이 횡령한 금액들을 숨기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세금을 덜 내기 위한 목적
: 기업의 가치를 부풀리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기업의 가치를 실제로 덜 좋은 것처럼 회계장부를 조작
하여 세금을 실제보다 덜 지급하기는 탈세의 목적도 있습니다. 실제로 매출 높게 발생하면 기업은
그 만큼 국가에 세금을 더 많이 내는데, 이를 피하기 위한 용도를 사용됩니다.
4. 조달 비용을 낮추기 위해
: 분식회계를 통해, 기업의 재무정보를 부풀리기 되면, 해당 기업은 재무구조가 좋은 것으로 판단되는
향후 조달 시에 드는 비용 및 이자를 줄 일 수 있게 됩니다.
* 분식회계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
1. 영업이익 규모와 영업활동 현금흐름의 차이가 이상할 정도로클 경우, 분식회계를 의심해
보아야 합니다.
2. 외부감사인 제도 도입
: 기업 내에 속하지 않는, 외부감사인을 고용하거나 두어 제 3자의 관점과 원칙을
기준으로 분식회계를 하지 못하도록 감사합니다.외부 감사인을 두게 되면 분식회계를 하게 될 경우
외부감사인이 이를 잡아내어 사전에 분식회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3. 손익계산서상에 나타난 회계 이익과 현금흐름표상의 현금 이익 간 차이가 클 때는 분식회계를 했는자
하지 않았는지 판별을 할 수 있습니다.
4. 내부회계제도 도입
: 기업 내에서 자체적으로 내부적인 프로세스 및 절차를 통제할 수 있도는 부서 또는
팀을 신설하여 내부통제절차를 만들면 분식회계를 사전에 판별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감사위원회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고, 구체적으로 감사위원회 스스로 회계관리에 대한
정기적인 재평가를 해야하며, 감사위원회의 구성원은 다년간 회계실무를 해본 사람으로 구성하되,
해당 기업과는 거래를 하지 않는 사람들로 구성이 되어야 합니다.
지금까지 BLLah 였습니다!
'재무와 무역 알면 쓸모있는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금운용이란? (0) | 2022.01.08 |
---|---|
원가계산이란? (0) | 2022.01.02 |
재무제표란?! (0) | 2021.12.25 |
자금대체란? (0) | 2021.12.19 |
신입인데, 자금업무에 투입되었을때 (0) | 2021.12.19 |
댓글